Competition Theory
Based on the lecture "Microeconomics (2017-1)" by Prof. Jin Woo Park, Dept. of Economics, College of Economics & Commerce, Kookmin Univ.
Assumption
What? Competition Theory
-
경쟁시장이론(Competition Theory) : 개별생산자들의 경쟁 양상에 따라 시장 유형을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이론
- 완전 경쟁(Perfect competition) : 사회적 후생이 극대화된 상태로서, 이상적인 상태로 간주되는 경쟁 상태
- 개별소비자와 개별생산자는 가격 수용자이다.
- 하나의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모두 동질적이다.
- 개별생산자는 시장에 자유롭게 진입하거나 퇴출할 수 있다.
- 시장에 관한 모든 정보는 모든 시장 참여자들에게 있어서 주지사실이다.
- 시장실패(Market Failure) : 완전 경쟁의 네 가지 조건이 동시에 충족되지 못하여 사회적 후생이 극대화되지 못함
- 산업조직론(Industrial Organization) : 불완전 경쟁으로 인한 시장실패 현상을 분석함
- 공공경제학(Public Economics) : 공공재 및 외부효과로 인한 시장실패 현상을 분석함
- 정보경제학(Information Economics) :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시장실패 현상을 분석함
- 법경제학(Law and Economics) : 정부의 과도한 경제 간섭과 규제로 인한 시장실패 현상을 분석함
Demand & Supply under Perfect Competition
-
완전탄력적 수요곡선(Perfectly Elastic Demand Curve) : 개별생산자가 단독으로 직면하는 시장수요곡선
소비자는 가격 수용자로서, 가격의 특정 수준에 대하여 수요량을 조절함으로써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음. 따라서 개별생산자가 단독으로 직면하는 시장수요곡선은 균형가격에서 수평선(완전탄력적인 곡선)이 됨.
-
평균비용곡선의 극소점을 상회하는 수준의 한계비용곡선(Marginal Cost Curve above the Minimum Point of the Average Cost Curve) : 개별공급곡선
생산자는 가격 수용자로서, 주어진 가격 하 양의 이윤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상태에서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을 공급함. 따라서 생산자들의 개별공급곡선은 한계비용곡선 중 평균비용곡선의 극소점을 상회하는 수준이 됨.
-
주어진 가격 하 양의 이윤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생산량 $Q^{*}$
\[\pi(Q^{*}) \ge 0 \Leftrightarrow Q^{*} \bigg\vert AR(Q) \ge AC(Q)\] -
주어진 가격 하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 $Q^{*}$
\[\max{\pi(Q^{*})} \Leftrightarrow Q^{*} \bigg\vert MR(Q)=MC(Q)\] -
주어진 가격 하 평균수익($AR$)과 한계수익($MR$)
\[\begin{aligned} TR(Q)&= P \cdot Q\\\\ AR(Q)&= \frac{TR(Q)}{Q}\\&= P\\\\ MR(Q)&= \frac{\Delta TR(Q)}{\Delta Q}\\&= P \end{aligned}\] -
종합
\[Q^{*} \bigg\vert P=MC(Q) \quad \& \quad P > AC(Q)\]
-
Short-Term
$P > AC \Rightarrow \pi > 0$
균형가격이 평균비용곡선의 극소점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자.
균형공급량 $Q_A$ 은 한계수익곡선 $MR(Q)$ 과 한계비용곡선 $MC(Q)$ 이 일치하는 공급량임.
총수익 $TR(Q)$ 은 평균수익 $AR=P$ 과 균형공급량 $Q_A$ 을 곱한 값임.
총비용 $TC(Q)$ 은 균형공급량에서의 평균비용 $AC(Q_A)$ 과 균형공급량 $Q_A$ 을 곱한 값임.
총이윤 $\pi(Q)$ 은 총수익 $TR(Q_A)$ 에서 총비용 $TC(Q_A)$ 을 뺀 값임.
총수익이 총비용보다 크므로($TR(Q_A)>TC(Q_A)$) 양의 이윤이 발생함($\pi(Q_A)>0$).
$P < AC \Rightarrow \pi < 0$
균형가격이 평균비용곡선의 극소점을 하회하는 수준에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자.
균형공급량 $Q_B$ 은 한계수익곡선 $MR(Q)$ 과 한계비용곡선 $MC(Q)$ 이 일치하는 공급량임.
총수익 $TR(Q)$ 은 평균수익 $AR=P$ 과 균형공급량 $Q_B$ 을 곱한 값임.
총비용 $TC(Q)$ 은 균형공급량에서의 평균비용 $AC(Q_B)$ 과 균형공급량 $Q_B$ 을 곱한 값임.
총이윤 $\pi(Q)$ 은 총수익 $TR(Q_B)$ 에서 총비용 $TC(Q_B)$ 을 뺀 값임.
총수익이 총비용보다 작으므로($TR(Q_B)<TC(Q_B)$) 음의 이윤이 발생함($\pi(Q_B)<0$).
Negative Profit Analysis
균형가격이 평균비용곡선의 극소점을 하회하는 수준에서 형성되어 음의 이윤이 발생하는 경우, 생산을 중단하여 비용을 없애는 것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임. 그러나 단기에는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고정비용이 발생함. 따라서 생산중단을 결정하기 전에 생산을 지속함으로써 고정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음.
$P<AFC(Q)$
균형가격이 평균고정비용곡선의 극소점을 하회하는 가격수준에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자.
총비용 $TC(Q)$ 을 총가변비용 $TVC(Q)$ 과 총고정비용 $TFC(Q)$ 으로 세분화할 수 있음.
총고정비용 $TFC(Q)$ 은 균형공급량에서의 평균고정비용 $AFC(Q_C)$ 과 균형공급량 $Q_C$ 를 곱한 값임.
총수익이 총고정비용보다 작으므로($TR(Q_C)<TFC(Q_C)$) 생산을 지속해도 총고정비용을 회수할 수 없음.
따라서 균형가격이 평균고정비용곡선의 극소점을 하회하는 수준에서 형성되는 경우($P<AFC(Q)$) 생산을 중단하는 것이 유리함.
$AFC(Q)<P<AVC(Q)$
균형가격이 평균고정비용곡선의 극소점을 상회하는 가격수준에서 형성되었다고 가정하자.
총비용 $TC(Q)$ 을 총가변비용 $TVC(Q)$ 과 총고정비용 $TFC(Q)$ 으로 세분화할 수 있음.
총고정비용 $TFC(Q)$ 은 균형공급량에서의 평균고정비용 $AFC(Q_C)$ 과 균형공급량 $Q_C$ 를 곱한 값임.
총수익이 총고정비용보다 크므로($TR(Q_C)>TFC(Q_C)$) 생산을 지속하면 총고정비용을 회수할 수 있음.
따라서 균형가격이 평균고정비용곡선의 극소점을 상회하는 수준에서 형성되는 경우($P>AFC(Q)$) 생산을 중단하는 것이 불리함.
Long-Term
시장수요곡선의 장기화
-
$P>\min{AC} \Rightarrow \pi>0$ : 잠재적 생산자가 시장에 진입하여 시장공급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균형가격이 하락함
-
$P<\min{AC} \Rightarrow \pi<0$ : 시장에 진입해 있는 생산자가 퇴출되어 시장공급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균형가격이 상승함
-
$P=\min{AC} \Rightarrow \pi=0$ : 균형가격은 생산자 진입 및 퇴출에 따라 등락을 반복하다가 점차 이윤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으로 수렴함
개별공급곡선의 장기화
-
장기평균비용(Long-Term Average Cost; LAC) : 각 생산량 수준($Q$)에서 단기평균비용이 최저인 점들의 집합
\[LAC(Q)=\min_{K}{SAC(Q \vert K)}\] -
장기한계비용(Long-Term Marginal Cost; LMC) : 각 생산량 수준($Q$)에서 채택된 단기평균비용곡선에 대응하는 단기한계비용곡선 점들의 집합
\[\begin{aligned} LMC(Q)&= SMC\left(Q \vert \hat{K} \right)\\ \hat{K}&= \text{arg} \min_{K}{SAC\left(Q \vert K \right)} \end{aligned}\] -
장기개별공급곡선(Long-Term Individual Supply Curve) : 장기평균비용곡선의 극소점을 상회하는 수준의 장기한계비용곡선
장기 균형
-
$P(=AR)=LAC \Rightarrow \pi=0$
개별생산자의 평균수익 $AR$ 과 장기평균비용 $LAC$ 이 일치함에 따라 이윤 $\pi$ 이 발생하지 않음. 따라서 잠재적 생산자의 시장 진입 혹은 진입해 있는 생산자의 시장 퇴출 가능성이 제거됨. 즉, 외부교란요인이 발생할 여지가 없음.
-
$P(=MR)=LMC \Rightarrow \max{\pi}$
개별생산자의 한계수익 $MR$ 과 장기한계비용 $LMC$ 이 일치함에 따라 이윤 $\pi$ 가 극대화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