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Consumer Theory (2) Demand Response to Changes in Market Demend Determinants

Based on the lecture "Microeconomics (2017-1)" by Prof. Jin Woo Park, Dept. of Economics, College of Economics & Commerce, Kookmin Univ.

Demand Response to Changes in Market Demend Determinants


  • 상품 공간(Commodity Space) : 두 재화 $X,Y$ 로 구성되는 상품묶음을 표현하는 좌표평면

  • 가격-수량 평면(Price-Quantity Plane) : 임의의 재화 $X$ 에 대하여 그 시장가격 $P_{X}$ 에 따른 수요량 $Q_{X}$ 을 표현하는 좌표평면

  • 소득-수량 평면(Income-Quantity Plane) : 임의의 재화 $X$ 에 대하여 소득수준(혹은 예산제약) $M$ 에 따른 수요량 $Q_{X}$ 을 표현하는 좌표평면

Price Changes

가정 : 대체 관계에 있는 정상재 $X,Y$ 에 대하여, $Y$ 재 시장가격 $P_{Y}$ 와 소득수준 $M$ 이 일정한 상황에서 $X$ 재 시장가격 $P_{X}$ 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현상 상품 공간 상의 표현
$\displaystyle\frac{P_{X}}{P_{Y}}$ 이 감소함 예산선의 기울기가 점차 완만해짐
$X$ 단위 실질소득수준 $\displaystyle\frac{M}{P_{X}}$ 이 증가함 예산선의 $X$ 절편이 점차 원점에서 멀어짐
$Q_{X}^{*}$ 가 증가함 무차별곡선과 예산선의 접점이 점차 오른쪽으로 이동함
  • 가격소비곡선(Price Consumption Curve; PCC) : 상품 공간에서 시장가격의 변화에 따른 최적 선택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곡선

    01

  • 개별수요곡선(Individual Demand Curve) : 가격-수량 평면에서 시장가격의 변화에 따른 최적 선택 하 수요량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곡선

    02

    • 개별수요곡선의 기울기 $\left(\displaystyle\frac{\Delta P_X}{\Delta Q_X}\right)$ 와 개별수요의 가격 탄력성 $\varepsilon_{P}$ 의 관계

      \[\begin{aligned} \varepsilon_{P} &= -\frac{\Delta Q_X/Q_X}{\Delta P_X/P_X}\\ &= -\frac{\Delta Q_X}{\Delta P_X} \cdot \frac{P_X}{Q_X}\\ &= -\left(\frac{\Delta P_{X}}{\Delta Q_{X}}\right)^{-1} \cdot \frac{P_X}{Q_X} \end{aligned}\]

Income Changes

가정 : 정상재 $X,Y$ 에 대하여, 그 시장가격 $P_{X},P_{Y}$ 이 일정한 상황에서 소득수준 $M$ 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

현상 상품 공간 상의 표현
예산규모 $M$ 이 증가함 예산선이 원점에서 점차 멀어짐
$X$ 단위 실질소득수준 $\displaystyle\frac{M}{P_{X}}$ 이 증가함 예산선의 $X$ 절편이 점차 원점에서 멀어짐
$Y$ 단위 실질소득수준 $\displaystyle\frac{M}{P_{Y}}$ 이 증가함 예산선의 $Y$ 절편이 점차 원점에서 멀어짐
\(Q_{X}^{*}, Q_{Y}^{*}\) 가 증가함 무차별곡선과 예산선의 접점이 점차 우상향함
  • 소득소비곡선(Income Consumption Curve; ICC) : 상품 공간에서 소득수준의 변화에 따른 최적 선택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곡선

    03

  • 엥겔곡선(Engel Curve; EC) : 소득-수량 평면에서 소득수준의 변화에 따른 최적 선택 하 수요량의 변화 양상을 나타낸 곡선

    04

    • 엥겔곡선의 기울기 $\left(\displaystyle\frac{\Delta M}{\Delta Q_X}\right)$ 와 개별수요의 소득 탄력성 $\varepsilon_{M}$ 의 관계

      \[\begin{aligned} \varepsilon_{M} &= -\frac{\Delta Q_X/Q_X}{\Delta M/M}\\ &= -\frac{\Delta Q_X}{\Delta M} \cdot \frac{M}{Q_X}\\ &= -\left(\frac{\Delta M}{\Delta Q_{X}}\right)^{-1} \cdot \frac{M}{Q_X} \end{aligned}\]

Price Effect


가정 : 대체 관계에 있는 정상재 $X,Y$ 에 대하여, $Y$ 의 시장가격 $P_Y$ 가 일정한 상태에서 $X$ 의 시장가격 $P_{X}$ 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현상 상품 공간 상의 표현
$X$ 단위 실질소득수준 $\displaystyle\frac{M}{P_X}$ 이 증가함 예산선의 $X$ 절편이 점차 원점에서 멀어짐
$\displaystyle\frac{P_X}{P_Y}$ 이 감소함 예산선의 기울기가 점차 완만해짐
\(Q_{X}^{*}\) 가 증가함 무차별곡선과 예산선의 접점이 점차 오른쪽으로 이동함
  • 가격 효과(Price Effect) : 특정 재화의 가격 변동이 해당 재화의 수요량에 미치는 총 효과

    05

  • $\text{Price Effect} = \text{Substitution Effect} + \text{Income Effect}$

    06

    • $E_1 \rightarrow E_3$ : 대체 효과

      대체 관계에 있는 재화 $X,Y$ 에 대하여, 동일한 효용수준을 유지하는 경우, $Y$ 에 대한 $X$ 의 상대가격 $-\displaystyle\frac{\Delta Y}{\Delta X}=\displaystyle\frac{P_X}{P_Y}$ 이 감소함에 따라 $Y$ 단위당 기회비용이 증가하므로 $Y$ 의 개별수요량 $Q_Y$ 일부가 $X$ 의 개별수요량 $Q_X$ 으로 대체될 수 있음

    • $E_3 \rightarrow E_2$ : 소득 효과

      정상재 $X$ 에 대하여, $X$ 단위 실질소득수준 $\displaystyle\frac{M}{P_X}$ 이 증가함에 따라 $X$ 의 개별수요량 $Q_X$ 이 증가할 수 있음

Price Effect Analysis

  • 대체 효과(Substitution Effect; $E_1 \rightarrow E_3$) : 특정 재화의 가격이 감소했을 때, 동일한 효용 수준을 유지하면서 상대적으로 더 저렴해진 재화를 더 많이 소비하고, 더 비싸진 재화를 덜 소비하는 효과

    07

    • 동일한 효용 수준을 유지하므로 무차별곡선에 변화가 없음
    • 상대가격 $\displaystyle\frac{P_X}{P_Y}$ 이 감소하므로 예산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짐
    • 최적 선택 하 $Q_Y$ 일부가 $Q_X$ 으로 대체되므로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의 접점이 우하향함
  • 소득 효과(Income Effect; $E_3 \rightarrow E_2$) : 특정 재화의 가격이 감소했을 때, 소비자가 동일한 예산 제약 하에서 취득 가능한 수량(구매력)이 증가하여 효용 수준이 변화하는 효과

    08

    • 상대가격 $\displaystyle\frac{P_X}{P_Y}$ 이 대체 효과 이후와 동일하므로 예산선은 대체 효과로 인해 완만해진 예산선과 평행함
    • 실질 소득 수준이 증가하므로 예산선은 원점에서 멀어짐
      • $X$ 에 대한 구매력 $\displaystyle\frac{M}{P_X}$ 이 증가하므로 $X$ 절편이 우측으로 이동함
      • $Y$ 에 대한 구매력 $\displaystyle\frac{M}{P_Y}$ 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Y$ 절편은 대체 효과 이전으로 회귀함

Variation


Compensating Variation

  • 보상 변화(Compensating Variation; CV) : 특정 재화의 가격이 변화했을 때, 이전과 동일한 효용 수준을 누리기 위해 보상 받아야 하는 추가 소득

    09

    $P_X$ 가 감소함에 따라 상대가격 $\displaystyle\frac{P_X}{P_Y}$ 이 감소하고, $X$ 에 대한 구매력 $\displaystyle\frac{M}{P_X}$ 이 증가하였음. 가격체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이전과 동일한 효용 수준으로 회귀하기 위해서는, 가격 변화 이전에 누렸던 효용 수준 하에서 최적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예산 규모를 조정해야 함. 즉, 예산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진 상태에서 기울기를 임의로 조정할 수 없는 경우, 가격 변화 이전의 무차별곡선과 접하는 수준까지 예산선을 평행이동해야 함. 예산선 평행이동 폭이 보상 변화가 됨.

  • 보상수요곡선(Compensated Demand Curve) : 가격 효과를 반영한 개별수요곡선에서 소득 효과를 제외한 대체 효과, 혹은 보상 변화만을 반영한 개별수요곡선

    10

Equivalent Variation

  • 대등 변화(Equivalent Variation; EV) : 특정 재화의 가격이 변화했다고 가정했을 때 누릴 수 있는 효용 수준과 대등한 효용 수준을 누리기 위해 필요한 추가 소득

    11

    $P_X$ 가 감소한다고 가정한다면, 상대가격 $\displaystyle\frac{P_X}{P_Y}$ 이 감소하고, $X$ 에 대한 구매력 $\displaystyle\frac{M}{P_X}$ 이 증가할 것임. 이에 따라 누릴 수 있는 효용 수준이 상승할 것임. 실제로는 가격체계에 변함이 없는 상태에서 가정과 대등한 효용 수준을 누리기 위해서는, 가격 변화 이후 누릴 수 있는 효용 수준 하에서 최적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예산 규모를 조정해야 함. 즉, 예산선의 기울기에 변함이 없는 경우, 가격 변화 이후의 무차별곡선과 접하는 수준까지 예산선을 평행이동해야 함. 예산선 평행이동 폭이 대등 변화가 됨.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