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Differentiation

Based on the lecture “Mathemat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2022-1)” by Prof. Yeo Jin Chung, Dept. of AI, Big Data & Management,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Kookmin Univ.

What? Differentiation


  • 미분(Differentiation)
    • 설명변수 $x$ 에 대한 반응변수 $y$ 의 순간변화율
    • 설명변수 $x$ 가 $\Delta x$ 만큼 변화할 때 $y$ 는 얼마만큼 변화하는가
  • 평균변화율의 이해

    01

    • 설명변수 $x \in X$ 에 대한 반응변수 $y \in Y$ 의 함수 $f:\,X\rightarrow Y$ 에 대하여
    • 다음을 구간 $[x,a]$ 에서 $x$ 에 대한 $y$ 의 평균변화율이라고 정의함

      \[\begin{aligned} \displaystyle\frac{\Delta y}{\Delta x} &=\displaystyle\frac{f(x)-f(a)}{x-a}\\ &=\displaystyle\frac{f(x +\Delta x)-f(x)}{\Delta x} \end{aligned}\]
  • 순간변화율의 이해

    \[\begin{aligned} \displaystyle\frac{d y}{d x} &=\lim_{x \rightarrow a}\displaystyle\frac{f(x)-f(a)}{x-a}\\ &=\lim_{\Delta x \rightarrow 0}\displaystyle\frac{f(x + \Delta x)-f(x)}{\Delta x} \end{aligned}\]
    • $x \rightarrow a$ 일 때 구간 $[x,a]$ 에서 $x$ 에 대한 $y$ 의 평균변화율
    • $\Delta x \rightarrow 0$ 일 때 $x$ 에 대한 $y$ 의 평균변화율
    • 즉, $x$ 의 변화폭이 0에 한없이 가까워질 때 $y$ 의 변화폭
  • 미분 가능하다는 말의 의미
    • 설명변수 $x \in X$ 에 대한 반응변수 $y \in Y$ 의 함수 $f:\,X\rightarrow Y$ 에 대하여
    • $x=a$ 에서 순간변화율 값이 존재하면 $f$ 는 $x=a$ 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말함
    • 모든 정의역에 대하여 미분 가능하다면 $f$ 는 $x$ 에 대하여 미분 가능하다고 말함
  • 성질
    • $x$ 에 대하여 미분 가능한 함수 $f(x), g(x)$ 와 상수 $\alpha$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

      • $\displaystyle\frac{d}{dx}\alpha=0$
      • $\displaystyle\frac{d}{dx}(\alpha \times f(x)) = \alpha \times (\displaystyle\frac{d}{dx}f(x))$
      • $\displaystyle\frac{d}{dx}x^n=n \times x^{n-1}$
      • $\displaystyle\frac{d}{dx}(f(x)\pm g(x))=\displaystyle\frac{d}{dx}f(x) \pm \frac{d}{dx}g(x)$
      • $\displaystyle\frac{d}{dx}(f(x)\times g(x))=(\displaystyle\frac{d}{dx}f(x))\times g(x) + f(x) \times (\displaystyle\frac{d}{dx}g(x))$
      • $\displaystyle\frac{d}{dx}\displaystyle\frac{f(x)}{g(x)}=\big( (\displaystyle\frac{d}{dx}f(x))\times g(x) - f(x) \times (\displaystyle\frac{d}{dx}g(x)) \big) \times \displaystyle\frac{1}{(g(x))^2}$

합성함수의 미분법

  • 연쇄법칙(Chain Rule)
    • $y=f(u)$ 가 $u$ 에 대하여 미분 가능하고, $u=g(x)$ 가 $x$ 에 대하여 미분 가능한 경우 다음이 성립함

      \[\begin{aligned} \displaystyle\frac{dy}{dx} &=\displaystyle\frac{dy}{du}\times \displaystyle\frac{du}{dx} \\ &=\displaystyle\frac{d}{du}f(u) \times \displaystyle\frac{d}{dx}g(x) \end{aligned}\]
  • 예시
    • $y=(3x+2)^5$

      \[\begin{aligned} y&=u^5,\\ u&=3x+2 \\\\ \therefore \displaystyle\frac{dy}{dx} &=\frac{d}{du}u^5 \times \displaystyle\frac{d}{dx}(3x+2) \\ &=5u^4 \times 3 \\ &=15(3x+2)^4 \end{aligned}\]

자연로그의 밑의 미분법


자연로그의 밑의 이해

02

  • 자연로그함수의 정의 : 기호 $e$ 로 표기되는 특정 상수를 밑으로 하는 로그함수

    \[\begin{aligned} f(x) &=\log_e x \\ &=\ln x\\ &=\displaystyle\int_{1}^{x}\displaystyle\frac{1}{t}dt \end{aligned}\]
  • 자연로그의 밑의 정의 : 자연로그함수 $f(x)$ 에 대하여 $f(x)=1$ 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 $x$

    \[\begin{aligned} f(x) &=\displaystyle\int_{1}^{x}\displaystyle\frac{1}{t}dt \\ &=\log_{e} x \\ &=1 \\\\ \Leftrightarrow x &=e \\ &=\lim_{n \rightarrow \infty} (1+\displaystyle\frac{1}{n})^n \\ &=2.71828\cdots,\;n\in R \end{aligned}\]

자연로그의 밑의 미분법

  • 자연로그함수의 미분법

    \[\begin{aligned} \displaystyle\frac{d}{dx}\ln x &=\displaystyle\frac{d}{dx}\displaystyle\int_{t=1}^{x}\displaystyle\frac{1}{t}dt \\ &=\displaystyle\frac{1}{x} \end{aligned}\]
  • 자연로그의 밑에 대한 지수함수의 미분법

    \[\begin{aligned} f(x) &=e^x\\\\ \displaystyle\frac{d}{dx}f(x) &=\displaystyle\frac{d}{dx}e^x \\ &=e^x \end{aligned}\]
    • 증명
      • 함수 정의

        \[f(x)=a^x\]
      • 미분 정의

        \[\begin{aligned} \displaystyle\frac{d}{dx}f(x) &=\lim_{\Delta x \rightarrow 0}\displaystyle\frac{f(x+\Delta x) - f(x)}{\Delta x}\\ &=\lim_{\Delta x \rightarrow 0}\displaystyle\frac{a^{x+\Delta x} - a^{x}}{\Delta x} \\ &=\lim_{\Delta x \rightarrow 0}\displaystyle\frac{a^{x}(a^{\Delta x} - 1)}{\Delta x} \\ &=a^{x} \end{aligned}\]
      • 극한의 성질에 근거하여 좌변에서 $a^x$ 소거

        \[\begin{aligned} \lim_{\Delta x \rightarrow 0}a^x \times \lim_{\Delta x \rightarrow 0}\displaystyle\frac{a^{\Delta x} - 1}{\Delta x} &=a^x \\ \displaystyle\frac{1}{a^x}\times a^x \times \lim_{\Delta x \rightarrow 0}\displaystyle\frac{a^{\Delta x} - 1}{\Delta x} &= a^x \times \displaystyle\frac{1}{a^x}\\ \lim_{\Delta x \rightarrow 0}\displaystyle\frac{a^{\Delta x} - 1}{\Delta x} &= 1 \end{aligned}\]
      • 극한의 성질에 근거하여 좌변에서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displaystyle\frac{1}{\Delta x}$ 소거

        \[\begin{aligned} \displaystyle\frac{\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a^{\Delta x}-1)}{\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Delta x} &= 1 \\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Delta x \times \frac{\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a^{\Delta x}-1)}{\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Delta x} &= 1 \times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Delta x \\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a^{\Delta x}-1)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Delta x \end{aligned}\]
      • 극한의 성질에 근거하여 좌변에서 $1$ 소거

        \[\begin{aligned}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a^{\Delta x}-\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1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Delta x \\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a^{\Delta x}-\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1 +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1 &=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1 +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Delta x \\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a^{\Delta x}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1+\Delta x) \end{aligned}\]
      • 극한의 성질에 근거하여 양변에 $\displaystyle\frac{1}{\Delta x}$ 제곱

        \[\begin{aligned}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a^{\Delta x}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1+\Delta x) \\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a^{\Delta x})^{\frac{1}{\Delta x}}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1+\Delta x)^{\frac{1}{\Delta x}} \\ a &=\displaystyle\lim_{\Delta x \rightarrow 0}(1+\Delta x)^{\displaystyle\frac{1}{\Delta x}} \end{aligned}\]
      • $\Delta x$ 를 $\displaystyle\frac{1}{n}$ 로 치환

        \[\begin{aligned} a &=\displaystyle\lim_{n \rightarrow \infty}(1+\displaystyle\frac{1}{n})^n \\ &=e \end{aligned}\]

삼각함수의 미분법


삼각함수의 이해

  • 각도에 대한 대변, 빗변, 이웃변 정의

    03

    • 대변(Homologous Side) : 각 $A$ 와 마주보는 변 $a$
    • 이웃변(Adjoint Side) : 각 $A$ 와 이웃하는 변 $b$
    • 빗변(Hypotenuse) : 직각 $C$ 와 마주보는 변 $c$
  • 삼각함수(Trigonometric Function) : 각도에 대한 삼각비의 함수

    • 삼각비(Trigonometric Ratio) : 직각삼각형 두 변의 비율
    • 사인 함수(Sine Function; $\sin$) : 각 $\theta$ 에 대하여 그 빗변 대비 대변의 비율

      \[\sin \theta = \frac{a}{c}\]
    • 코사인 함수(Cosine Function; $\cos$) : 각 $\theta$ 에 대하여 그 빗변 대비 이웃변의 비율

      \[\cos \theta = \frac{b}{c}\]
    • 탄젠트 함수(Tangent Function; $\tan$) : 각 $\theta$ 에 대하여 그 이웃변 대비 대변의 비율

      \[\begin{aligned} \tan \theta &= \frac{a}{b} \\ &= \frac{\sin \theta}{\cos \theta} \end{aligned}\]

삼각함수의 미분법

  • 사인 함수의 미분

    \[\frac{d}{dx}\sin x=\cos x\]
  • 코사인 함수의 미분

    \[\frac{d}{dx}\cos x=-\sin x\]
  • 탄젠트 함수의 미분

    \[\frac{d}{dx}\tan x=\frac{1}{\cos^2 x}\]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